마음공부

비슬산 유가사 - 도성암 2

강보 (gangbo) 2010. 4. 15. 03:34

 

                                                 도성암에서 유가사로 돌아가는 길목에

 

 

                                            소나무 숲길따라 돌아 들어오니 하늘가득 살구꽃이 활짝 웃음으로 반긴다

 

                                 어느 절에서도 볼 수 없는 지붕색과 "십방루"(十 방향)란 현판이 눈길을 끈다

 

                                    자랑할 만큼 빼어난 노송들로 이루어진  솔숲을 뒷배경으로

                                    앞 마당에 대중포교(?)를 위한 무대도 만들 계획이란다

                                   

                                       웬 바위인가 하고 들여다 보니, 이미 마모되어 내용은 알 수가 없었고

                                       곳곳에 다양한 크기의 바위들이 많이 놓여져 있는데

                                       불법을 전하기 위해 경전의 글귀나 선사들의 귀한 말씀을 새기기 위한 귀한신 몸이란다

                                       

                                       대구를 둘러싼 팔공산과 비슬산 부터  

                                       유가사를 중심으로 주변의 절과 암자까지 해설사님의 설명을 들으며...

 

                                              인위적으로 만든 동서남북이 아닌 '세상의 방향을 만든다는 뜻'으로

                                              십방루(十方樓)라 지었다 한다

 

 

                                비슬산 천왕봉 아래 자리하고있는 "유가사"는 

                                신라 혜공왕(765-780) 창건설과 신라 흥덕왕2년(827년) 도성국사가 창건했다는 설이 전해지고,

                                '유가'란 범어의 '요가'란 뜻으로 몸과 마음을 닦으며 수도하는 아름다운 곳, 즉 선경(仙境)을 의미한단다

 

                                                   짝을 찾은 삼층석탑이 오랫동안 해로하기를 _()_

 

                                                           기단만 남은 석등은 그대로 두고 옆에다 새로조성

 

                                                    "나한님"들이 꽃을 지켜주시는 건지,

                                                    아니면 "백진달래꽃"이 나한님들을 보호하는 것인지...

 

                                                    '기와불사'를 하고 나니 봉사하시는 불자님이 귀한꽃이라고 찍어가라 하신다

                                                    그러고 생각하니 아직 철쭉이 피기엔 이르다

 

                                                    내 눈은 빠르(?)기도 하지

                                                    벌써 뇌속에 저장된 오래전 기억으로 아무렇지도 않게

                                                    "어!  여기도 흰철쭉이 있네. 예전에 동학사에서 보았는데.." ^^;;;

                                                   

                                                    일상에서 놓치고 사는 일이 얼마나 많을까?

 

                                                    그저 놓치고 말면 그나마 다행이겠지만

                                                    전혀 다른 정보로 인해 무명을 벗지 못하는 건 아닌지

                                                    매 순간 알아차림이 필요한 줄 알 일이다

 

                                                            용화전에 모셔진 석가여래 미륵불님 !

 

 

 

                                                유가사에 있는 건물중 가장오래된 조사당!

                                                어느뗀 나무보다 크지 않았을까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하는 건물이다

 

                                                        육조혜능 선사의 글

                                                        

                                                        전통찻집 뒷길로 오르면 새로 조성하고 있는 산책로 길이 조만간에  많은 불자들에게 유명한 탐방코스가 되지 않을까 시다

 

 

                                                                 십방루를 지나서

 

                                                      사천왕님 모두 봄꽃놀이를 가셨나 안계셨다

                                                      안보인다고 안 계시는건 아니지만

                                                      인사 드리고

 

                                          108 돌탑 조성중이란다

                                          

            

                                       어디서 이많은 중생들을 모셔왔는지

                                       앞으론 모두가 사랑을 받는 부처로 환생을 하는 중이다

 

                                          옛문헌에서 무산오현 선사가 유가사에 대해 쓴 시를 발견하고는

                                          이곳 유가사를 108돌탑(일반인의 유해를 봉안할 부도탑)조성과

                                          시(詩)비로 경내전체가 한창 공사중이었다

                                         

                                                       많은 공이 들었을  탑이 "금강저"와 닮았다

 

                                          비슬산의 두 성사(도성과 관기)를 찬하는 글 

 

 

                                                      자연색은 물감으로 흉내를 낼 수가 없다

                                                      어린것은 모두 다 예쁘다

                                                      가르치지 않아도  미소보시도 할 줄 알고

                                                      나설 때를 안다

                                                     

                                                         품어준 바위도 대단하고

                                                         버텨낸 싹도 대단하다

 

                                            아 멀리있지 않았구나 !

                                            머잖아 천불 천탑이 될듯하다

  

                                                       시골 아주머니의 손끝에도 봄은 와 있었다

 

                                         2010년 4월 정기순례    비슬산 도성암-유가사-(용연사)

 

 

                                                  ***  코스모스가 숭한 괴객(怪客)입니다  ***

                

                             하루는 정혜사 참선방에 있는데, 전월사에 계시던 만공 스님께서 정혜사로 오셨다 

                             그때 선방앞뜰에 코스모스가 피어 있었는데, 그걸 보시더니 칭찬을 많이 하셨읍니다

                                "그놈, 잘났구나!"

                                그래서 나는 대답했다

                                "그 코스모스가 숭한 괴객(怪客)입니다.'

                                다른 초목들도 같이 자라고 있는데, 저 혼자 잘났다고 오똑하니 서서 건들거리는 폼이 영락없는

                             괴객이라 응수했더니, 스님이 나를 한번 탁 치시면서 말씀하셨다

                                "요것이 늙은이를 뎄고 놀려...."

                             그러자 나는 그만 말문이 막히고 말았다.

 

                             또 만공스님께서 무학스님이 창건한 간월도의  절 기와불사를 하러 가시는데 모신 적이 있었다.

                                 아침에 스님께서 포행 삼아 나오셔서 주변을 둘러보셨다.   마침 주변에서 배들이 오고 가고 하는게

                             보였는데, 만공선사가 내게 물었다.

                                "저 배가 어디서부터 와서 어디로 가느냐?"

                             나는 주먹을 한 번 내밀면서 말했다.

                                "이리로 갑니다."
                                그러자 만공선사는 아무 말씀도 않으시고 방으로 들어가셨다

                                무어라고 한 말씀을 하실 듯도 한데 그냥 들어가시던 모습이 아쉽게 남아 있다.

                                또 언젠가 만공스님께서 바위 위에 앉아 계셨는데 내게 물으셨다.

                                "삼세제불(三世諸佛)과 역대조사가 자네하고 거리가 얼마나 되느나?"

                                "거리가 바로 이 자립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이 말도 아직 익지 않은 대답이었다.

 

                                한암, 만공(滿空), 대자유자재를 몸소 보여주신 춘성(春城),자비의 표본을 제시하셨던 청담(靑潭)스님,

                             동산, 고봉, 금오, 석두스님과 같은 근세의 선지식과 만날 수 있었던 인연을 잊을 수 없는 일이다.

                                그 분들과의 선문답을 통해 수시로 수행을 점검 받곤 했다.  

                                흔히 깨닫지도 못한 수좌들이 알음알이로 선문답을 하는 이가 있는데, 몇 마디 해보면 들통이 난다.  

                                선문답은 상식을 깨고 논리를 초월하기 때문에 수행으로 터득한 바가 없으면 문답이 되지 않는 법이다.

     

                                                                                 - 성찬 스님의 "바람소리는 조사의 노랫소리"에서 -

                           

 

                                         "용연사"는

                                         부처님사리가 모셔진(임진왜란때 난을 피해 묘향산으로 옮겼던 통도사의 부처님사리를

                                         사명대사의 제자 청진이 다시 통도사로 옮길때 그 일부를 모셔와 봉안하였다한다)곳으로

                                         진입로에 벗꽃축제로 한발짝도 들여놓지 못하고 아쉬운 발길을 돌렸다

 

                                         간길에 일행과 떨어져 보고 올까 하고 잠시 마음을 내었다가

                                         체면에 져주는 것도 공부다 싶었다

                                      

                                         그나마  벚꽃구경(혹시나 기회가 될까싶어)도 마다하고

                                         서두르는 동행에 두 눈 질끔감고..

 

                                         조만간 연이 닿을것을 기도하며 _()_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경큰스님 4재봉행을보다   (0) 2010.06.04
아기부처님들 !  (0) 2010.06.03
비슬산 도성암-유가사 1  (0) 2010.04.14
부처님 출가재일에  (0) 2010.03.24
청도 사리암-운문사   (0) 2010.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