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발표 내용 : "자비다선 명상의 독창성에 대한 소고"
(계정혜 삼학을 중심으로)
지운(한국 차명상협회 이사장)
1. 서론
2. 본론
1) 명상의 체계는 계정혜 삼학이다
正見 ---------- 慧 ㅣ
正思 ---------- ㅣ
正語 ************ ㅣ
正業 ************ 戒 ㅣ 三學
正命 ************ ㅣ
正精進 -------- ㅣ
正念 ----------- 定 ㅣ
正定 ----------- ㅣ
2) 삼학에서 본 자비다선의 특징
* 자비다선의 차명상법은 모두 열 가지이다.
1. 행다선(行茶禪) - 알아차림을 주로 하여 현재의식으로 깨움.
2. 오색다선(五色茶禪) - 다섯 빛깔 찻잔과 다섯 빛깔의 차를 이미지화 하여
자성광명을 찾게함.
3. 색(色)한마음다선 - 차의 맑고 투명한 성품을 이미지화하여 마음의 본성인
허공같고 거울같은 각체를 체현하게 함.
4. 향(香)한마음다선 - 차향을 우주 간의 모든 생명에게 선사하여 자비심을 키우
며 차향을 심향으로 전환하여 선정과 지혜를 얻는다.
5. 맛한마음다선 - 차의 첫맛보기와 차맛변화 알기를 통해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의 삼법인(三法印)과 무상(無相), 무원(無願),
공(空)의 삼해탈(三解脫)을 얻는다.
6. 자다선(慈茶禪) - 사랑의 행복을 배가시킨다.
7. 비다선(悲茶禪) - 연미니심으로 맺힌 눰뎡능 품.
8. 자비공양다선(慈悲供養茶禪) - 일체 모든 생명에게 차공양 올려 소통함.
9. 일미다선(一味茶禪) - 첫맛보기와 차맛변화 알기를 동시에 같이 수행함.
10. 다선신선(茶禪詩禪)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열가지 차명상법에는 열한 가지의 중요한 특징이 있다
1. 발보리심 2. 자비 3. 명상찻잔의 도구를 사용한다
4. 명상도를 사용하지 않고도 명상할수 있다 5. 이미지를 사용한다
6. 자비다선의 명상은 수행단계가 있다
7. 깨달음의 수행방편을 명확히 제시하고 수행체계가 잡혀 있어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8. 관계성 사유 9. 알아차림 10. 다선시를 통한 깨침 11. 점검
* 이 열한가지 특성은 삼학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삼학을 이루는데 있어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보리심을 발해야 하며
둘째, 알아차림
세째, 삼학을 닦음에 따라 방편이 있다
네째, 수행단계가 있다
다섯째, 점검이 있어야 한다
첫째, 1과9는 삼학을 이루게 하는 수행출발의 보리심을 발하며
둘째, 9는 정과 혜를 이루게 하는 알아차림이며
셋쩨, 3은 깨치기 위한 도구와 행위는 다례이니 이는 방편이며 또한 계(戒)에
속한다
2와5는 방편이면서 정(定)에 속하며 8은 혜(慧)에 속하는 관계성 사유이며
네째, 6은 수행단계이며
다섯째, 11은 점검이다
7은 자비다선의 수행체계인 삼학으로 다섯 가지의 총체적인 모습이다
3)색한마음 다선에서의 계정혜
3. 자비다선 차명상의 효과
4. 결론 - 삼학이 없는 차명상은 차명상이라고 할 수 없다
< 학술 내용중 일부분을 옮겨보았읍니다 >
<용량문제로 부분 끊어서 녹음하다보니 미비한점도 많고,
메모리 부족으로 2부와 3부는 담지 못한점,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한점 등 아쉬움을 느끼며,
"학술지"로 대신하실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자비선사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비다선" 시연 2 ( 香 한마음다선 ) (0) | 2010.07.09 |
---|---|
"자비다선" 시연 1 (나누어 마시는차, 오색차) (0) | 2010.07.08 |
제1회 사)한국茶명상 학술대회 (오픈전 茶시음) (0) | 2010.06.30 |
서울 자비선명상쎈타 점안식 (0) | 2010.05.26 |
보살춤 (0) | 2010.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