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배낭여행(인도)

바라나시 강가 풍경들

강보 (gangbo) 2013. 1. 9. 00:54

 

 

 

                                                              보트왈라는 아저씨만 있는게 아니다

                                                              이처럼 학교에 가야할 나이에 책가방 대신에 보트의 노를 잡고 안간힘을 써가며

                                                              강위를 오르내리며 익숙한 몸짓으로 관광객들 앞에 서는

                                                              아이들도 있다

 

                                                              물론 내가 보고다니는 여행지는 주로 관광명소이거나  꾸미지 않은 뒷골목의 풍경들

                                                              삶의 현장에서 만난 아이들을 많이 접하다보니

 

                                                              어느면으론 나보다 못살고 못나보이고 부족해보이기도 하고

                                                              심지어는 다들 꾸미지 않아서 우리가 말하는 거지처럼 보이기까지 하지만,

                                                              그렇게 보이지 않는 숫자가 훨씬 많을 것이란걸 짐작은 한다 

                                                          

                                                              우리 어렸을때도 집안 형편이 어려워 중학교만 마치고 일찍이 공장에

                                                              취직한  동네친구들도 있다

 

                                                              되려 형편도 어려우면서 줄줄이 학교에 보낸다고 동네에서 손가락질 받기도 했단다

                                                              8남매나 되니 왜 안그러겠는가

                                                              부.모  두분다 학교엘 제대로 다니지 못했던 한이 있었기에

                                                              자식들 만큼은 눈을 튀어줘야 한다는 평생소원이 계셨기 때문에

                                                              그나마 그 친구들보다 우리 형제들이 쪼금 아주 쬐금더 배울수 있지 않았나 싶다

                                                             

                                                              그렇다고해서 지금 잘샤냐면

                                                              딱히 그렇다고도 할 수 없는것 같다

                                                              적어도 물질적으로는...

 

                                                              하나같이 돈버는 제주는 없어,옆을 돌아보는 여유도 부족한것 같다

                                                              반면에 정신적으로는 다들  군자 행세를 하며 산다고나 할까 ㅎㅎ

 

                                                              아버진 늘 그러셨다

                                                              어떻게 하는게 잘사는겁니까? 고 물으면

 

                                                              "그건 아무도 모른다

                                                              단지 눈감기 직전에 자신의  삶을 돌아보았을때

                                                              잘살았다고 생각되면 그게 잘산게 아닌가"라고

                                                              "결코 눈 감을때나  알것이다"라고 말하셨다

                                                             

                                                              어느때부턴가 옛말이 하나도 그른게 없다는 생각이

                                                              문득문득 들때가 있다 

                                                              "사람은 철들면 죽는다" 는말이 있는데

 

                                                              아버지의 말씀도

                                                              철이 들어 죽을때가 되어서야 자신의 삶이 어땠는지를 알수가 있다는 뜻인것 같다   

                                                              (물론 죽을땐 모두가 철이 드는건 아니지만ㅎ )

 

                                                              인도의 저 아이들은 어떨까

                                                              우리네보다 더 빨리 철이들까

                                                              

                                                              인도인들은 다른 어느나라보다 정신세계가 높다(?)하던데

                                                              물론 수행자가 많아서 일까?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두고 사느냐는

                                                              자기인생의 목표치와 비례하지 않을까 싶다  

                                                             

 

 

 

 

                                                     바라나시 강가에서 볼 수 있는  아침풍경중의 한 장면이다

 

 

 

 

                                                              자아니교 수행자이다

 

 

                                                          들은바에 의하면 수행을 오래해서 경지에 오를수록

                                                          몸에 걸치는게 적어진단다

                                                          종국에는 하나도 안 걸치고 수행을 한단다

                                                          이른아침 강가에 나왔다가 우리도 봤다

 

                                                          그야말로 "무소유"를 주장한단다

                                                          입은 옷조차  먹는것 조차  신는것 조차도

                                                          모든 가식을 벗어 던진다는 것일게다

 

                                                          멀리서 보았을땐 신발도 신은줄 알았다

                                                          그러나 손을보고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

 

                                                          수행자로서

                                                          오로지 수행을 위해서 먹어야 하기에 밥을 얻을때 쓰는 밥그릇과 수저

                                                          그리고 부채와 나막신(?)이  소유를의 전부란다

 

                                                          살아 있는 미물들은 다 소중하기에 신발을 신으면 밟힐까봐서 나막신을 신고

                                                          앉을때에도 엉덩이에 깔릴까봐 비자루로 앉을 자리를 쓸고 앉는단다

                                                          (제대로 된 정보인지는 잘 모르나 대충 그리 기억을 한다)

 

                                                          수행자의 내공이 커질수록 무소유로 지낸단다

                                                          어느날아침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자가 물가에 서있는 것을 보았다

                                                          그땐 그사람의 정신세계를 의심했었는데

 

                                                          다년간 여러차례 다녀온 동생에게서 이야기를 듣고 이해 하게되었다

                                                         

                                                          보편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어떤 사물을 볼때,

                                                          그동안 익혀졌던 무의식의 생각을 덧씌워

                                                          사물을 판단하고 지각한단다

 

                                                          즉 분별력을 갖고 좋고 싫고, 아름답고 추하고, 길고 짦고, 크고 작고, 넓고 좁고 등등 ...

                                                          예날에 봤던것 같은 생각이 드는것도 무의식에서 올라오는 기억과 겹쳐서

                                                          지금의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그냥 있는 그대로 보는것이 아니라

 

                                   무명에 가려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주된 수행으로

                                                          마음의 거울을 닦으라 한다

                                                         

                                                          

 

                                              있는 그대로 보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어떨땐 누렇게도 보이고

                                                             어떨땐 퍼렇게도 보이고

 

                                                             조금 아는체을 했더니

                                                             

                                                             얼굴이 새파랗게 질린 낯빛을 보여 주셨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도 내가 지어낸것이다  ㅎㅎㅎ)

 

 

 

 

                                                             _()_   _()_   _()_